이용방법

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아래 이용방법을 참고하여 진행해 주세요.

  • STEP 01

    앱 실행하기
    (모바일 접속)

  • STEP 02

    아이그림 P9
    신청하기

  • STEP 03

    그림 주제 및
    준비물 확인

  • STEP 04

    촬영 및
    업로드(전송)

  • STEP 05

    양육스트레스
    검사

  • STEP 06

    결과확인

※ 자세한 내용은 각 단계를 클릭해서 확인해보세요.

좌우로 넘기면서 봐주세요.

앱 실행하기

아이그림 P9 링크 접속 (모바일만 이용 가능합니다)

  • 모바일 접속

    휴대폰 브라우저를 이용하여
    *홈페이지* 로
    접속합니다.

  • 아이그림 P9

    메인화면이 나타납니다.

  • 메뉴 선택

    오른쪽 상단의 메뉴를 선택합니다.

  • 로그인

   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,
    계정이 없는 경우, 회원가입
    버튼을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.

아이그림 P9 신청하기
  • 마이페이지

    마이페이지 버튼을 클릭합니다.

  • 검사신청하기

    캐릭터 하단의 “START” 버튼을 클릭합니다.

  • 해당사업클릭

    지자체의 신청으로 들어온 사용자는
    해당되는 사업을, 유료로 이용할 경우
    유료서비스를 클릭해주세요.

  • 신청하기

    신청서 내용을 입력 후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.

  • 상품결제하기

    원하시는 상품을 선택합니다.
    상품을 결제합니다.
    * 사업을 통한 회원님의 경우 그림등록페이지로 자동 이동됩니다.

그림 주제 및 준비물 확인

신청하신 아동 나이를 클릭하시어 주제 및 재료 유의사항 필히 참고 하여 그림을 그린 다음, 그림 전체가 보이도록 사진을 찍어주세요

  • 4세 그림주제 및 재료

    DAP는 도화지를 세워서
    (세로) 그림을 그립니다.

  • 5세 그림주제 및 재료

    DAP는 도화지를 세워서
    (세로) 그림을 그립니다.

  • 6세 그림주제 및 재료

    KHTP는 도화지를 눕혀서
    (가로) 그림을 그립니다.

  • 7세 그림주제 및 재료

    KFD는 도화지를 눕혀서
    (가로) 그림을 그립니다.

  • 초등학생 그림주제 및 재료

    KSD는 도화지를 눕혀서
    (가로) 그림을 그립니다.

  • 자유화 그림주제 및 재료

    자유화는 도화지를 눕혀서
    (가로) 그림을 그립니다.

촬영 및 업로드(전송)
  • 결제 완료 후 자동으로 그림등록
   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
    혹은 마이페이지 결과보기공간에 생성된
    ‘그림 수정’ 버튼을 눌러 그림등록을 합니다.
    (추후 그림 변경을 원하실경우에도 이 버튼을 눌러 그림을 수정해주세요.
    신청일 기준 하루동안 변경이 가능합니다.)

  • 사진등록 클릭

    사진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사진촬영을 하거나 미리
    사진을 찍어놓으신 경우에는 사진선택버튼을 눌러 등록해주세요.

  • 그림업로드

    아이의 그림이 그려진 도화지가
    다 보이도록 사진을 찍어서 올립니다

  • PDI 입력 및 계속하기 클릭

    주어진 질문에 답을 하고 계속하기를 클릭합니다.

양육스트레스검사
  • 부모양육스트레스검사

    차분한 마음으로 검사를 진행합니다.
    (그림등록 후 창을 닫으신 경우, 마이페이지로 이동하여 양육스트레스 검사버튼을 클릭하세요.)

  • 부모양육스트레스검사 완료

    ‘완료’ 버튼을 클릭합니다.

결과확인

결과는 3-4일 소요되며, 문자로 발송됩니다. (발송된 문자 링크접속)

  • 결과안내

    문자수신
    관찰결과가 나오면 안내문자를 받습니다.
    문자의 링크를 클릭합니다.

  • 로그인

    검사를 진행했던 아이디로 로그인을 합니다.
    로그인을 하시면 마이페이지로 자동이동됩니다.

  • 결과보기

    마이페이지 중간에 위치한 결과보기공간에서
    ‘결과보기’버튼을 클릭합니다.

  • 아이그림 관찰결과

    아이그림 관찰결과를 봅니다.

  • 양육스트레스 결과

    세부 분석 결과와 하위 척도 분석 결과를 봅니다.